반응형

전체 글 240

스택과 데크(deque)

안녕하세요 Dibrary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자료구조는 스택 입니다. 연결 리스트보다 어찌보면 간단한? 자료구조입니다. (이해하기는 굉장히 쉬운데 실제 쓰임새는 연습하지 않고는 떠오르지 않는 괴랄한... ) 스택의 특징은 딱 하나 입니다 LIFO (LAST에 IN 한 데이터가 FIRST로 OUT 한다) 이거 한 개만 아셔도 스택 개념의 절반은 먹고 들어간다~ 이거죠. 스택은 반드시 LIFO만 유지되면 됩니다. 그럼 여기서 LAST에 IN한 다는 의미와 FIRST로 OUT한다는 의미가 무엇인가 코드로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파이썬으로요) 임의로 stack이라는 이름의 list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1, 2, 3을 순서대로 넣고 확인해 보니 순서대로 들어갔네요. pop을 하니까 맨 마지막에 넣은 3이 제일..

자료구조 2022.06.03

파이썬으로 주택 매수 지수 확인해보기

안녕하세요 Dibrary입니다. 최근 2년간 부동산 난리가 끝나고 서서히 하락세로 돌연 변해가는 것 같습니다. 뭐든 흥망성쇠가 따르는 법인데, 마침 이런 기사가 있었습니다. 매물 늘어나는데..꿈쩍 않는 매수 | Daum 부동산 [아시아경제 황서율 기자]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매물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매수자들은 좀처럼 움직이지 않고 있다. 집값 고점 인식과 매수자의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선 매매 realestate.daum.net 과연 매수는 꿈쩍 않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물론, 한명한명 물어보는게 제일 정확한데, 그럴 순 없으니까 지표를 제공해주는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저는 통계청의 자료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KOSIS 국가통계포털 내가 본 통계표 최근 본 통계표 25개가..

[소로스 투자 특강] 경제학에 숨어있는 교묘한 함정을 찾은 귀재

여러 도서관을 다니는 나는 위 2권을 모두 읽었다. (같은 책인지도 모른채... ) 어쩐지 두 번째 읽을 때 똑같은 느낌이 들어서 확인해보니 같은 책이었다. 이 책은 조지 소로스가 경제학을 어떻게 생각하고 바라보는지를 알 수 있는 책이다. 사실 경제학이 궁금해서 공부해본 나 역시 가장 의문이었던 것은 경제학에서 사용하는 전제들이었다. 대표적인 것은 아래와 같다. 모든 인간은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고 가정한다. 즉, 자연과학에 있는 공리 처럼 전제를 설정한 후에 이론이 갖춰진 것인데, 문제는 사회과학은 자연과학과 같지 않다는 것이다. 소로스는 이 점을 직시하고 있다. 사회과학(여기서는 경제, 금융)은 왜 자연과학과 같지 않을까? 그 이유는 바로 '사람'에 있다. 자연과학에서 다루는 혹은 진행되는 과정에 있는..

독서/서평 2022.05.31

카드 사용의 보이지 않는 함정

안녕하세요 Dibrary입니다. 돈 관리를 함에 앞서, 카드를 몇 개 가지고 계신가요? 전 체크카드 2개, 신용카드 1개 그 외에 결제 가능한 카드는 없습니다. 여기서 체크카드는 물론 신용카드도 혜택을 단 1도 받지 않는 용도 입니다. 흔히 이런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돈 모으고 싶으면 카드 만들지 말라. 왜 카드를 만들면 돈을 못 모은다는 뉘앙스로 말을 하는 걸까요? 살펴보겠습니다. 1. 체크카드 체크카드는 신용카드보다 절약하는 측면에서 조금 더 유리합니다. (물론, 체크카드도 단점 측면이 있습니다.)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나가지 않습니다. 체크카드는 정해진 한도(통장 잔고) 내에서 쓰게 됩니다. 이 2가지가 절약이라는 관점에서 신용카드와 비교해 두드러지는 체크카드의 이점입니다. 먼저, 신용카드는 항상..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레이크 구축] 쉬운 빅데이터 흐름 구축 설명서

읽게 된 계기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관련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고자 하는데 하나하나 인터넷을 찾기에는 너무 관련 정보가 없어서 찾다가 발견한 책. 이 책의 목차를 보니 내용들의 목표는 '데이터 레이크'라는 것을 만드는 데 있는데, 이 데이터레이크는 간단하지 않아서 데이터 수집 부터 설명해 나가는 것으로 보였다. 그 과정에서 수집, 적재, 처리 라는 단계가 있는 것을 보고 데이터 파이프라인과 맞겠다 싶어서 읽기로 결정했다. 이 책의 특징 먼저 데이터 레이크가 뭔지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 기존에 우리가 아는 저장소(DB) 와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가며 설명해준다. 또한, 데이터 레이크를 만들기 위해 알아 둬야 하는 배치방식,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 이 2가지의 차이와 각 방법별 구축 아키텍처에..

독서/서평 2022.05.27

연결리스트 - 이중 연결 리스트

안녕하세요 Dibrary입니다. 앞에서 단일연결 리스트를 보셨다면, '역순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다~' 싶은 생각이 드셨을 수 있는데, 이 기능도 같이 구현한 것이 이중연결 리스트 입니다. 2022.05.17 - [자료구조] - 연결리스트 - 단순 연결 리스트 이렇게 양방향 화살표인 셈이죠. 근데, 사실 '개념'은 이래도, 양방향으로는 각 Node별로 앞, 뒤가 나뉘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표현하는 게 좀 더 정확합니다. 그래도 앞에서 뒤로, 뒤에서 앞으로 올 수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이번에도 파이썬으로 코드 구현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노드만을 만들어 보고 기본 개념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A와 B와 C라는 노드를 만들고, A B C 이렇게 연결 했습니다. A부터 C까지 값을 ..

자료구조 2022.05.26

[데이터 레이크] 데이터 저장의 모든 기술 집약체

읽게 된 계기 데이터와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문득 Data Warehouse와 Data Lake라는 단어는 많이 보이는데 명확한 구별이 어려웠다. 아무래도 시험관련공부로 접한 내용은 핵심만을 짚어놓았으니까. 그럼에도 처음에는 Lake라는 단어에 끌려 이 책을 보게 되었다. 말 그대로 잔잔한 호수를 생각하며 읽었지만, 내용은 정말 유용하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이 책의 특징 데이터레이크에 대해 소개한 책이 몇 없는데, 그 중에 하나. 내용은 전공서적 같은 전문 개념들이 나오는데 반해 처음부터 끝까지 설명체로 이어진다. 그래서 흐름을 이해하기가 용이함. 중간중간 이미지도 있어서 이해하기 어렵지 않다. 간단 내용 정리 데이터 레이크는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할 데이터를 모아놓는 저장소' 개념으로 사..

독서/서평 2022.05.25

[데이터마이닝] 1장 - 개요 (기본 개념 및 용어 몇가지)

안녕하세요 Dibrary입니다. 데이터 마이닝 책의 내용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해 둘 생각입니다. 1장은 데이터 마이닝이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개괄적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Q. 왜 데이터 마이닝이 필요하게 되었는가? A. 전산화가 이뤄지면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수집됨. 이 데이터에서 가치있는 정보를 발견하고 체계적인 지식으로 변환하기 위해 탄생하게 되었다. 고급 데이터분석은 1980년대 후반 이후부터 생겨났다. Q. 데이터 웨어하우스란? A. 경영 의사결정을 위해 단일 사이트에서 통합 스키마에 의해 구성된 여러 이기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데이터 웨어하우스 = 데이터 정제 + 통합 + OLAP Q. OLAP란? A. 요약, 통합, 합산 및 다양한 각도에서 정보를 볼 수 있게..

데이터 마이닝 2022.05.24

[아파트 값 5차 파동] 집값 파동의 역사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자

우선 이 책은 품절이다. 오래전에 나왔기 때문이다. 제목에서 5차 파동이라는 말을 보면 알 수 있다. 최근의 아파트값 파동은 7차 파동이다. 도서관 가서 빌려 본 책인데, 하도 부동산이 떠들썩 해서 "아예 이참에 부동산에 대해 어느정도 공부하고 정리해 둬야겠다~" 하는생각에 이곳저곳 찾다가 사람들이 입모아 추천하길래 읽은 책이다. 결과는, 굉장히 좋은 책이다. (참고로 나에게 좋은 책이란 정리가 비교적 잘 되거나, 명확한 근거들이 나온다는 것이다.) 집값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시간 순서대로 설명해 나가면서 집값이 변화할 때 시대적 환경, 정치적 요인, 경제 상황 등을 하나하나 설명해 나가고 있다. 시작은 굉장히 오래 전 부터 시작한다. 전쟁 이후 첫 아파트가 지어질 무렵 1960년대 부터 집값에 대해..

독서/서평 2022.05.23

[빅데이터 저장 및 분석을 위한 Redis] 레디스를 위한 기초 교재

NoSQL중에 제일 먼저 접한 것이 MongoDB와 Redis다. NoSQL에 대해 이미 어느정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키-값 데이터베이스를 알아둬야겠다 싶어서 공부했다. Redis는 여타 데이터베이스와 다르게 설치가 굉장히 무겁지 않다. 아무래도 메모리 기반이라서 그런지 속도를 빠르게 가져갈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Redis의 CRUD라고 할 수 있는 기본 내용은 이 책으로 공부할 수 있다. 다만, 단점으로는 리스트 타입부분에서 CRUD의 예제로 나온 내용들이 너무 알아보기 어려운 것을 실어놓았다. 꺽쇠가 넘쳐나는 데이터를 예로 보여주는데, 이 부분은 다른 책을 참고했을 정도다. 뒤에 가면 키-값 형태의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몇가지 모델들, 설계방법, Redis의 아키텍처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뭐..

독서/서평 2022.05.21
반응형